부가세 계산기 부가가치세 공급대가 2025

부가세는 상품에 가치가 부가된 경우 매겨지는 세금이다. 정식 명칭은 부가가치세라고 하며, 공급가액의 10% 를 부가세로 더하여 상품가격이 결정된다. 소비자가 내는 금액은 항상 공급대가가 되는데, 여기서 공급가액과 부가세를 계산해내는게 다소 어렵다. 부가세 계산기 부가가치세 공급대가를 이용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부가세 계산기

결과
공급가액 0 원
부가세 0 원
공급대가(합계) 0 원

부가가치세 계산하는 방법

부가세 계산기

공급가액은 물품이나 서비스의 순수한 가격을 의미한다. 거기에 나라에서 부과하는 부가세를 더한 금액을 공급대가라고 한다. 소비자가 내는 금액은 공급대가다.

  • 공급가액 + 부가세 = 공급대가

공급대가 (부가세 포함된 합계금액) 로부터 공급가액을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공급가액 = 공급대가(합계금액) / 110 * 100

공급대가 (부가세 포함된 합계금액) 로부터 부가세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부가세 = 공급대가(합계금액) / 110 * 10

총 합계금액인 공급대가는 공급가액 100% 에 부가세 10% 로 이루어져 있으니 이를 먼저 110으로 나누어 1%를 구한 후, 다시 공급가액는 100% 을 곱해 구하고, 부가세는 10%를 구해 구하는 방식이다. 다소 어렵긴 하지만, 소비자가 이렇게까지 구할 필요는 없다. 계산기를 이용하거나 홈택스 신고과정을 보자.

부가세 계산기

예를 들어 110원이 부가세까지 포함된 공급대가(합계금액)라고 하면,

  • 110 / 110 * 100 = 100 원이 공급가액이 된다.
  • 110 / 110 * 10 = 10 원이 부가세가 됩니다.
  • 공급가액 100원과 부가세 10원을 합해 공급대가는 110원이 되는 것이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