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연봉별 국민연금 계산 보험료 13% 개편안 반영

국민연금이란 일하면서 받는 월급이나 사업에서 나오는 소득에서 국민연금보험액을 내고, 65세 이후에 연금 형태로 받는 사회보장제도의 하나입니다. 국민연금 납부액은 연봉에 따라 달라지며 최근 보험료 13% 로 바뀐 다음 연봉별 국민연금 계산 방법에 대해 궁금한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기존에는 9% 였던 보험료가 13%로 크게 오르면서 과연 나는 얼마를 내야 하는 걸까 기존과 비교해서 얼마를 더 내야 할까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국민연금은 소득의 9% 를 보험료로 냅니다. 근로자의 경우 4.5% 는 회사에서 내주고, 나머지 4.5% 는 근로자의 급여에서 빠져나갑니다. 물론 원천징수의무자인 회사가 아예 4.5% 를 빼고 지급하고, 직접 나라에 내주기 때문에 근로자가 직접 내는 건 아닙니다.

2025년 3월 20일, 10년간 끌어오던 국민연금 개편안이 통과되었는데요. 내년부터 8년간 매년 0.5% 씩 보험료를 올려 최종적으로 2034년에는 13%의 보험료율을 적용한다는 내용입니다. 이렇게 되면 회사는 7.5% 를 내게 되고, 근로자도 7.5% 의 보험료를 부담하게 됩니다. 만만치 않을 것이란 예상인데요.

2025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 방법

현재의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방법은 기본월소득에 연금보험료율 9% 를 곱하면 됩니다. 만약 연봉이 3,600만원이라면 매달 세전 300만원의 급여를 받게 되고, 여기에 9% 를 곱하면 매달 27만원의 보험료를 내게 되는 것이죠.

물론 이중 절반인 13만 5,000원은 회사가 부담하고, 나머지 13만 5,000원만 근로자가 부담합니다. 따라서 300만원 – 13만 5,000원 = 268만 5,000원이 회사에서 받는 세전 급여가 됩니다.

이렇게 계산한 2025년 기준 연봉별 국민연금 계산 납부액을 표로 그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한액 40만원, 상한액 637만원 적용)

연봉(만원)기준소득월액(원)국민연금 보험료(9%)근로자 부담액(50%)
3,0002,500,000225,000112,500
3,1002,583,333232,500116,250
3,2002,666,667240,000120,000
3,3002,750,000247,500123,750
3,4002,833,333255,000127,500
3,5002,916,667262,500131,250
3,6003,000,000270,000135,000
3,7003,083,333277,500138,750
3,8003,166,667285,000142,500
3,9003,250,000292,500146,250
4,0003,333,333300,000150,000
4,1003,416,667307,500153,750
4,2003,500,000315,000157,500
4,3003,583,333322,500161,250
4,4003,666,667330,000165,000
4,5003,750,000337,500168,750
4,6003,833,333345,000172,500
4,7003,916,667352,500176,250
4,8004,000,000360,000180,000
4,9004,083,333367,500183,750
5,0004,166,667375,000187,500
5,1004,250,000382,500191,250
5,2004,333,333390,000195,000
5,3004,416,667397,500198,750
5,4004,500,000405,000202,500
5,5004,583,333412,500206,250
5,6004,666,667420,000210,000
5,7004,750,000427,500213,750
5,8004,833,333435,000217,500
5,9004,916,667442,500221,250
6,0005,000,000450,000225,000
6,1005,083,333457,500228,750
6,2005,166,667465,000232,500
6,3005,250,000472,500236,250
6,4005,333,333480,000240,000
6,5005,416,667487,500243,750
6,6005,500,000495,000247,500
6,7005,583,333502,500251,250
6,8005,666,667510,000255,000
6,9005,750,000517,500258,750
7,0005,833,333525,000262,500
7,1005,916,667532,500266,250
7,2006,000,000540,000270,000
7,3006,083,333547,500273,750
7,4006,166,667555,000277,500
7,5006,250,000562,500281,250
7,6006,333,333570,000285,000
7,7006,370,000573,300286,650
7,800~10,0006,370,000573,300286,650

13% 개편안 적용 연봉별 국민연금 계산

그렇다면 국민연금 개편안이 적용된 보험료율 13% 가 반영되면 지금의 보험료와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9%와 13% 를 계산하고 이의 차이를 구해보았습니다. 이건 매달 내야 하는 금액이기 때문에 1년으로 비교하면 12배를 더 내야 한다는 얘기겠죠.

참고로 상한선과 하한선이 있기 때문에 연봉 7,700만원 이상부터는 41만 4,050원을 보험료로 내며, 이보다 더 많이 벌어도 보험료를 추가로 내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매달 41만원씩 돈이 나가는 걸 보고 있으면 화딱지가 날 꺼 같네요.

연봉(만원)기준소득월액(원)기존 부담액(9%)개편안 부담액 (13%)차액
3,0002,500,000112,500162,50050,000
3,1002,583,333116,250167,91751,667
3,2002,666,667120,000173,33353,333
3,3002,750,000123,750178,75055,000
3,4002,833,333127,500184,16756,667
3,5002,916,667131,250189,58358,333
3,6003,000,000135,000195,00060,000
3,7003,083,333138,750200,41761,667
3,8003,166,667142,500205,83363,333
3,9003,250,000146,250211,25065,000
4,0003,333,333150,000216,66766,667
4,1003,416,667153,750222,08368,333
4,2003,500,000157,500227,50070,000
4,3003,583,333161,250232,91771,667
4,4003,666,667165,000238,33373,333
4,5003,750,000168,750243,75075,000
4,6003,833,333172,500249,16776,667
4,7003,916,667176,250254,58378,333
4,8004,000,000180,000260,00080,000
4,9004,083,333183,750265,41781,667
5,0004,166,667187,500270,83383,333
5,1004,250,000191,250276,25085,000
5,2004,333,333195,000281,66786,667
5,3004,416,667198,750287,08388,333
5,4004,500,000202,500292,50090,000
5,5004,583,333206,250297,91791,667
5,6004,666,667210,000303,33393,333
5,7004,750,000213,750308,75095,000
5,8004,833,333217,500314,16796,667
5,9004,916,667221,250319,58398,333
6,0005,000,000225,000325,000100,000
6,1005,083,333228,750330,417101,667
6,2005,166,667232,500335,833103,333
6,3005,250,000236,250341,250105,000
6,4005,333,333240,000346,667106,667
6,5005,416,667243,750352,083108,333
6,6005,500,000247,500357,500110,000
6,7005,583,333251,250362,917111,667
6,8005,666,667255,000368,333113,333
6,9005,750,000258,750373,750115,000
7,0005,833,333262,500379,167116,667
7,1005,916,667266,250384,583118,333
7,2006,000,000270,000390,000120,000
7,3006,083,333273,750395,417121,667
7,4006,166,667277,500400,833123,333
7,5006,250,000281,250406,250125,000
7,6006,333,333285,000411,667126,667
7,7006,370,000286,650414,050127,400
7,800~10,0006,370,000286,650414,050127,400

마치며

이번 연봉별 국민연금 계산 개편안은 말이 많은 개편안입니다. 국민연금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이 방식으로 적용해도 2043년 정도에는 기금이 고갈될 것이 정해진 운명이라고 하죠.

게다가 이제 보험료를 낼 아이들도 많이 줄어들어 근로자 한명당 노인 2명을 부양해야 하는 시점이 올 것이라고 하는데요. 이제 10살인 아이들은 근로 능력이 생겨 급여를 받기 시작하는 때부터 약 30% 의 보험료를 내야 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사실상 폰지사기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2025년 연봉별 국민연금 계산 보험료 13% 개편안 반영 사실상 폰지사기

게다가 보험료가 오르면서 사업주들의 부담도 커집니다. 급여 인상에 박해질 수도 있겠죠. 이래저래 어려운 시기입니다.

Leave a Comment